NCT 세계관 해석의 글 더보기
NCT 세계관 해석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20. Resonance : 90's Love + Work It + Raise The Roof
2021. 1. 27. 23:55Ø. NCT 2020 : Resonance Pt. 2
1.
<Pt. 1>이 광야 한가운데서 꿈의 과거와 미래를 (Pt 1. Past & Future)
<Pt. 2>는 꿈의 시작점과 도착점을 다룬다. (Pt 2. Departure & Arrival)
2.
꿈의 시작(departure)은 태용과 윈윈이 처음 공감한 그 순간이다. 꿈의 끝(Arrival)은, 시작점과 같다.
지금의 기억을 가진 채 처음 시점으로 돌아가면, 꿈이 현실이 되는 것이다.
Ⅰ. 90's Love
1.
여기서 '시작점(Departure)'의 이야기가 바로 「90's Love」이다.
'꿈속의 나(현재)'로서는, '현실의 나(시작점)'는 이미 지나온 시공간이다. 두 개의 '자신'은 연결돼 있지만 꿈에서 깨기 전까진 서로를 만날 수 없음을 가사를 통해 말하고 있다.
"본 적 없는 시간의 의미"
"본 적 없는 공간의 의미"
"서로의 존재를 느껴"
2.
또한, 현실과 꿈 세계의 파장이 맞닿아 공명이 커질수록, 두 세계가 광야(무의식 공간)를 넘어 가까워짐을 설명한다.
"힘이 커져가면 come and find me 광야를 넘어 더욱 가까이 와"
"새로운 그 충돌 파장은 번져가고 있어"
"어쩌면 닿을 듯한 코스모를 느낀 거야"
3.
MV를 보면, 락커룸에 붉은 조명이 비춘다. 락커룸은 꿈, 그 바깥의 링크장은 현실을 의미한다.
그런데, 텐이 이 락커룸에 홀로 들어오고 있다.
4.
이 유닛에서 < 마크, 제노, 해찬 >은 현실을 지향,
< 윈윈, 양양 >은 각각 균형과 불균형을 상징하기에 입장이 없고,
< 성찬 >은 이제 막 꿈에 진입했다. 즉, 이들 중 텐의 방향성만이 NCT 2020과 반대된다.
5.
락커룸에서 뭉쳐있는 멤버들과 홀로 동떨어진 텐.
이 장면으로 NCT 안에 "계속 꿈을 꾸려는 이들이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모두 함께 현실로 돌아가기 위해선, 이들의 마음을 돌려야 한다.
6.
그런데, 이런 텐과 똑같이 붉은 조명 아래에 홀로 선 해찬.
다음 장면에, 해찬과 모든 멤버들이 텐과 함께 락커룸 밖으로 달려 나간다. 해찬이 NCT 2020을 빌려, 텐과의 공명을 시도한 것이다.
7.
처음부터 줄곧 모두 함께 꿈속에 머물길 바랐던 텐이지만, 현실을 향하는 NCT의 거대한 공명에 결국 마음을 돌렸고, 그는 이 여정을 따르게 되었다.
Ⅱ. Work It
1.
그리고 2020 프로젝트의 마지막 유닛 「Work It」이 이 긴 여정의 도착점(Arrival)을 결정한다.
"어디든 갈 수 있어 함께 있는 시간이 말해줘"
2.
이 유닛은 < 쟈니, 텐, 정우, 재민 >이 꿈속을 지향,
<유타, 헨드리 >는 중립으로,
「90's Love」의 구성과는 반대로 < 지성 > 홀로 현실을 지향한다. 이들이 이대로 키를 잡는다면 꿈의 끝이 아니라 다시 꿈속으로 향하게 될 것이다.
3.
MV 속, 비어 있는 회전 무대.
그런데 지성이 다가가 회전 무대를 돌린다. 이어서 쟈니와 헨드리가 함께 한다.
전에도 비슷한 연출이 사용된 적 있다. WayV의 데뷔곡 「Regular」에서, 헨드리가 멈춰있던 한 구조물(프락시노스코프)을 회전시키자 비로소 무대가 작동하였고, 이 행동은 공감의 시작을 의미했다.
4.
이번에 회전 무대를 돌린 건 NCT DREAM의 시작을 담당했던 지성(현실). 그리고 그곳에 쟈니(꿈속)와 헨드리(중립)가 함께했다는 것은,
결국 NCT 2020을 통해 이뤄진 거대한 공명으로, 모두가 하나의 방향으로 모이게 되었음을 뜻한다.
5.
회전무대 외에도, 낮에 쟈니가 보낸 태양을 밤에 재민이 받아 달이 되는 장면으로, 입장이 다르고 같은 멤버들의 연결을 모두 보여주며 끝내 하나로 모인 NCT를 설명한다.
6.
새로운 화음과 공명이 모든 NCT의 마음을 움직였고, 마침내 꿈(Dream) 없이도 꿈(Wish)을 꿀 수 있다 믿게 된 것이며, <Resonance Pt. 2>를 마치고 NCT는 모두 함께 꿈을 거슬러 올라 한계 없는 현실로 향한다.
"지금부터 거슬러 가는 거야"
"상상해 만들어"
Ⅲ. Raise The Roof
1.
매질(에테르)을 곳곳에 퍼뜨려 파동을 전하고, 모두가 공명하여 꿈의 끝으로 향하기까지, < NCT 2020 >의 모든 서사가 「Raise The Roof」에 담겨 있다.
2.
NCT의 음악, 공감, 꿈의 파동은 점차 퍼져 갔고,
"커져가고 있는 신호 들었지"
"중복되는 프리퀀시"
서로 간의, 꿈과 현실의 자신 간의 파동이 맞닿아 공명이 일고,
"서로를 찾아내는 기적"
"맞닿은 우리의 Vibe 차츰 커져가는 파"
"공명 그 안의 moves"
마침내 모두 함께 꿈(Dream)의 끝으로 가, 잠들었던 꿈(Wish)을 깨워 현실이 되게 한다.
"잠들었던 널 깨워, 힘은 더 커져 가"
"Imma wake you up, They sleeping"
"난 가고 있어"
3.
이 여정을 통해 하나가 되어, 무한을 실현할 수 있게 된 NCT는 새로운 세상을 열게 될 것이다.
2016 일곱 번째 감각부터 NCT 2020까지,
꿈을 착각하고, 꿈을 자각하고,
꿈을 깨려 했고, 꿈을 지키려 했던 긴 이야기는
안팎의 공감이 낳은 공명으로 하나 되어 모두가 꿈의 끝에 다다르며 막을 내린다.
{ 현재 알 수 있는 정보 }
NCT : 꿈에서 깨어남
'NCT 세계관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T 2020으로 꿈에서 깨어났다 해석한 추가 근거 : MAMA vcr. (5) | 2021.01.29 |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9. Resonance : Make A Wish + From Home + 무대로 (0) | 2021.01.27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8. Turn Back Time (0) | 2021.01.07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7. Punch + Ridin' (0) | 2020.12.25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6. 영웅 + Neo Zone (0) | 2020.12.20 |
NCT 세계관 해석의 글 더보기
NCT 세계관 해석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9. Resonance : Make A Wish + From Home + 무대로
2021. 1. 27. 22:49Ø. NCT 2020 : Resonance Pt. 1
1.
2016년부터 시작된 꿈에 갇힌 NCT의 이야기.
이제 NCT 2020을 무대로, 그 최종장이 열린다.
2.
두 번째 대형 프로젝트 < NCT 2020 >의 주제는 'Resonance', 즉 '공명'이다.
첫 번째 프로젝트인 < NCT 2018 >에서는 꿈과 공감의 개념을 정립, 멤버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설명했었다. 그리고 < 2020 >은, 개인 사이의 공감(Empathy)이 모여 형성된 거대한 공명(Resonance)을 통해 새로운 전개를 향해 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3.
두 체제 사이의 변화는 크게 두 가지, WayV의 정식 합류와 새로운 멤버 쇼타로, 성찬의 합류이다.
지금까지 127은 꿈을 나가기 위한 대립을 계속해 왔고, Dream은 꿈을 자각하고 깨어나려는 의지를 갖췄으며, WayV는 꿈의 끝으로 가기 위해선 꿈의 처음으로 되돌아가야 함을 발견했다.
WayV의 공식 합류로 세계관이 시간의 개념으로까지 확장됐고, WayV가 가져온 실마리로 NCT는 다시금 현실로 도약한다. 때문에 <Pt.1>, <Pt.2> 모두 수직선 상의 시간을 기준으로 스토리가 전개된다. (Past & Future / Departure & Arriver)
"Welcome to, welcome to"
"Try Again"
4.
그리고 새로운 멤버, 즉 새로운 음(音)의 합류.
「Year party」를 보면, 게이트를 통과한 멤버들의 의상이 바뀌고, 전원이 한 함선에 올라탄다. 하지만 새로운 멤버 쇼타로와 성찬이 입장하자 비로소 함선이 출발한다.
NCT 멤버들은 꿈에서 저마다 '음'을 가지며, 다채로운 음과 화음을 통해 공유몽을 꾼다고 했다.
새로운 멤버(音)의 합류는 NCT 2020이 하나의 무대에 모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었다.
더불어, 2020 활동 유닛이 전부 NCT U인 이유 또한, 새로운 화음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5.
이렇게 출발한 함선은 우주로 진입, 2020 세계관 영상 「Ether」로 이어진다.
우주를 가로지르는 함선. 그것은 NCT 127의 「Regular」에서 등장한 차량으로 표현된다.
「Regular」는 꿈에서 깨려는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곡이다.
여기에 시공간의 한계가 없는 우주를 배경으로 해 WayV의 합류를 상기시키면서, NCT 2020을 통해 시공간을 되돌려 꿈을 나가려 함을 드러내고 있다.
6.
「Ether」의 메시지를 살펴보자.
보통의 의식세계 -현실에서, 우리는 공동체에 귀속된다. (보통의 의식세계 = regular)
그 너머엔, ‘무의식’이라 불리는 또 다른 세계가 있다. (무의식 = 꿈 = irregular)
무의식(꿈)은 의식세계(현실)의 자신과 연결돼 있고,
무의식은 깊은 바다부터 우주 너머까지 무한히 확장한다.
이 무의식의 파동(꿈의 파동)을, ‘광야’라고 부른다.
그리고 서로 다른 차원, 사람, 감정을 연결하는 매개물, '에테르'.
우린 새로운 여정을 통해 에테르를 무한히 퍼뜨린다.
즉 <광야>란 무의식(꿈)이 진동하며 남긴 공간이고, <에테르>는 그 파동을 작용하게 하는 '공감'이라는 매질이다.
NCT 2020의 목적은 이 에테르(=공감)를 온 세계에 퍼뜨리는 것.
현실에 있는 우리들(엔시티즌, 대중)과 음악으로 공감함으로써 에테르는 현실까지 퍼진다.
7.
에테르가 꿈 세계를 넘어 현실 세계까지 닿았을 때, 꿈과 현실의 파동이 맞닿을 것이고,
그로 인해 공명이 일어나면, 꿈을 거슬러 올라 꿈에서 깨어나게 되는 것이다.
8.
멤버들은 꿈을 거슬러 '이동'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에 올라탔고, 엘리베이터 바깥에는 광야가 펼쳐져 있다.
광야는 꿈의 파동이 남긴 공간이라고 했다. 그래서 광야 곳곳에 지난 활동들의 흔적이 보인다.
9.
<Pt.1>은 Past와 Future로 나뉘는데, 둘 모두 광야가 배경이다.
사막과 바다라는, 우리에게 익숙한 색채를 사용했고, 태양이 진 밤을 'Past', 태양이 뜨는 새벽을 'Future'로 설정하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Pt. 1>의 활동곡 두 곡은 광야 속 꿈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다. 현실을 기준으로,
과거(Past)를 바라보는 시점이 「From Home」, 미래(Future)를 바라보는 시점이 「Make A Wish」이다.
Ⅰ. From Home
1.
먼저, 「From Home」.
가사에서 보이듯, NCT의 과거를 노래하고 있다.
"I remember like it's yesterday"
"그 어렸던 마음까지 모두 추억이 되게 해준 너"
2.
그리고 MV의 배경은 '바다'. 바다는 무한한 가능성을 의미한다. 저마다의 꿈으로 NCT에 모였지만, 하나의 목표에 공감하여 하나의 꿈(바다)에서 만난 지금까지의 여정을 따뜻하게 그리고 있는 것이다.
"When we shine, I'm alive in the CT 날 노래해"
"이 조명 아래 서로를 바라보면 나도 몰래 웃게 돼 다 잊게 돼"
3.
세계관이 시작되던 과거에는, 꿈(Dream)은 원하는 걸 다 이룰 수 있는 곳이었다. 현재와 과거의 꿈의 의미가 달라졌음을 강조하듯, 가장 어리지만 현실을 지향하는 천러가, 집 안(꿈속)에서 NCT의 꿈을 웃으며 지켜보고 있다.
(집=건물=꿈속)
Ⅱ. Make A Wish
1.
반대로, 「Make A Wish」는 미래에 대한 곡이다. 미래 시제인 가사가 그 근거이다.
"우린 여길 떠나려 해"
2.
이 곡은 '알라딘'이라는 동화를 모티브로 한다.
MV에서 멤버들은 양탄자에 올라타 있고, 청자들에게 탈 것을 권유하기도 한다.
"빨리 올라타 마음은 같은 곳에"
"널 어디로든 데려가 줄 수 있어"
알라딘에서 '양탄자'는 주요 '탈것'이며, 탈것은 꿈을 나가려는 의지를 표방한다. 즉, NCT의 미래는 꿈 바깥의 현실을 향하고 있다.
3.
이는 제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Make A Wish'는 NCT 127의 「Chain」에서 등장했던 어구인데, 이 곡에서 'Wish'가 '현실에서 이룰 꿈'으로 정의됐기 때문이다.
"Make a wish 내 현실로 스며들어"
"꿈들을 내 현실로 이끌어와"
이렇게 광야 한가운데서 꿈의 과거와 미래를 다루면서, NCT는 새로운 화음을 쌓아가며 에테르를 퍼뜨리고 있다.
Ⅲ. 무대로 (Déjà Vu;舞代路)
1.
그런데, 시공간을 거슬러 올라가던 도중 NCT DREAM은 데자뷰를 겪게 된다.
[데자뷰] : 최초의 경험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보았거나 경험한 적이 있다는 느낌이나 환상
2.
꿈을 되감던 중 마크가 NCT DREAM의 꿈을 떠나던 시점(「We Go Up」)에 도달한 것이다.
하지만 드림의 모두가 꿈을 자각한 지금, 기존의 꿈 공간을 모두 불태운 지금이라면,
이제는, 마크는 드림과도 공감할 수 있다.
"난 아직도 너와 dreaming"
"이어진 길로 we go up"
「무대로」 속 놀이공원은 「Ridin'」의 데자뷰,
지성이 멤버들을 촬영하(꿈을 지켜보)고 있는 것은 그의 역할에 관한 데자뷰이다.
4.
그런 드림에게 온 초대장이, 7명의 공감이 다시 한번 맞닿았음을 알려준다.
곧 2020년 최고의 무대를 뽑는 경연이 열려.
과거의 무대에서 느꼈던 소중함이 다시금 빛날 거야.
너의 팀과 함께 정상에 도전해봐.
무대에서 기다릴게.
5.
Stage란 의미의 무대는 '舞臺'이다. 하지만 이 곡의 제목은 '舞代'.
舞 : 춤추다
代 : 이어지는 다음 것으로 대체하다
路 : 길
반복된 꿈으로 다시 만난 마크와 함께, NCT DREAM의 2막(代路)이 열렸음을 알리고 있다.
"먼 길을 돌아도 만나게 되는 걸"
"반복된 이 꿈, 너와 난 다시 여기 이 무대 위"
{ 현재 알 수 있는 정보 }
< 입장 >
꿈에 머물자 : 텐, 도영, 쟈니, 정우, 재민
꿈에서 깨어나자 : 마크, 태용, 루카스, 해찬, 런쥔, 천러, 지성, 제노, 쿤, 샤오쥔
중립 : 태일, 유타, 재현, 헨드리
< 역할 >
태용, 윈윈, 지성, 샤오쥔 : 세계관을 엶
윈윈 : 꿈 사이 균형을 맞춤
양양 : 꿈 사이 균형을 어긋냄
재현, 루카스, 정우 : 꿈의 구조를 거스름
태일, 유타, 쿤 : 꿈의 끝을 볼 수 있음
마크, 런쥔, 해찬, 헨드리 : 꿈에 자신의 의지를 투영할 수 있음
쇼타로, 성찬 : NCT 2020의 조건
< 특이사항 >
NCT 2020 : 서로간의, 현실과의 공명을 위한 공감을 세상에 퍼뜨림
NCT DREAM : 데자뷰를 겪고 마크 재합류
'NCT 세계관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T 2020으로 꿈에서 깨어났다 해석한 추가 근거 : MAMA vcr. (5) | 2021.01.29 |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20. Resonance : 90's Love + Work It + Raise The Roof (0) | 2021.01.27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8. Turn Back Time (0) | 2021.01.07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7. Punch + Ridin' (0) | 2020.12.25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6. 영웅 + Neo Zone (0) | 2020.12.20 |
NCT 세계관 해석의 글 더보기
NCT 세계관 해석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8. Turn Back Time
2021. 1. 7. 00:56영상으로 보기 >
Ⅰ. Turn Back Time
1.
WayV는 꿈에 의해 현실이 완전히 사라지는 걸 막고자, 「Moonwalk」에서 그 카운트다운을 멈췄었다.
하지만, 잠시 멈추는 것만으론 현실의 소멸을 막을 수 없었다.
2.
그러던 중 「Turn Back Time」을 통해, WayV는 한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바로, '시간을 되돌려 한계를 초월할 수 있다'는 것.
"우리가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땅에는 경계가 없고 하늘엔 끝이 없어"
(地无疆 天无界 If we could turn back time)
"다시 시작해, 다시 되돌려 이 여행의 이름은 시공초월"
(再启程 再回转 旅途名为超时空 回)
4.
주목할 점은, '한계'는 곧 꿈이라는 것이다.
꿈은 한 번 들어온 이상 계속해서 더욱 깊은 꿈으로 반복되는, 수직적이자 순환적인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이런 구조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방법은,
한계(꿈)를 뛰어넘을 방법은,
"꿈에 처음 진입하던 그 순간으로 되돌아가는 것"
「Turn Back Time」을 통해, 드디어 꿈을 멈추는 걸 넘어 현실로 되돌아갈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이렇게 구체적인 방법이 언급된 것은 모든 NCT 유닛을 통틀어 WayV가 유일하다.
5.
이 앨범의 제목은 <Awaken the World>, WayV의 첫 번째 정규앨범이다.
지금까지 NCT에겐 꿈을 나갈 의지와 시도만이 드러났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으로 시공간을 되돌려 꿈의 끝으로 간다는 구체적인 방법을 발견한 것. 그것이 이 유닛이 줄곧 '시간'과 연관되던 이유이다.
"Stop, Rewind, Turn back time"
6.
그리고, 「Interlude: Awaken The World」에서 들리는 '공명음'.
공명음은 127의 <Neo Zone> 인터루드에서도 들려왔다. WayV 또한 새로운 차원의 공감을 통해 꿈을 깨려는 시도 중임을 알려준다.
다음은 이 앨범의 소개말이다.
"시공간을 벗어나 오감을 넘어 일곱번째 감각을 통해 시작하는 이번 여정, '시공초월'" ― WayV THE STAGE 中
일곱번째 감각은 '공감'이다. 이 단어의 언급으로 앞의 해석이 한층 확실해진다.
7.
이렇게 현실로 되돌아가기 위해 시공초월로의 여정을 시작한 WayV.
하지만 MV에선, 멤버들이 모두 감옥에 갇혀있다.
8.
감옥 안에서, 루카스는 날개를 빼앗긴 천사로 묘사된다.
날개는 꿈을 향한 비상을 상징한다.
루카스에게 꿈은 'Wish'였으므로, 이는 꿈(dream)을 나가려는 움직임이 방해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9.
샤오쥔은 증기실에 갇혀있다. 그 안에서 잠에 든 샤오쥔.
그런데 그가 눈을 뜨는 순간, 공명음이 들린다.
이는 태용, 윈윈이 처음 공감을 느낄 때와 비슷한 연출로, 샤오쥔의 역할을 상기시킨다.
그리고 그의 대사를 보면,
- 여기서 나가려면 뭘 해야 해?
- 신호를 찾아줘
여기서 신호는 공명음을 의미한다. 즉, '감옥을 나가기 위해선 새로운 공감이 필요하다.'
멤버들을 가둔 이 감옥은 꿈(dream)임을 알 수 있다.
10.
쿤의 감옥은 깨진 유리로 가득하다. 그리고,
- 여길 어떻게 나가지?
- 내가 길을 보여줄게
꿈의 끝을 보았다는 역할에 따라, 그는 감옥을 나가게 될 방법을 알고 있다.
하지만 쿤은 혼자 탈출하지 않았고, 피할 수 있는 파편을 피하지 않으며 길잡이로서의 존재감을 보인다.
11.
헨드리의 감옥은 물속이다.
이전 「Moonwalk」에서, 그는 텅 빈 욕조에서 물방울을 조정했고, 이를 통해 '꿈에 의지를 투영한다'는 그의 역할을 관찰했었다.
그런데 이번엔 욕조에 물이 가득 차 있고, 주변에 나비가 날아다니기도 한다.
나비는 호접몽(물아일체의 꿈)을 상징하므로, 꿈(물)을 손안에 두었던 헨드리가 수중 감옥에 갇히고선 꿈에 완전히 잠겨버렸음을 알려준다.
때문에 가만히 앉아만 있는 등, 예전처럼 꿈의 흐름에 의지적으로 관여할 수 없다.
12.
윈윈은 사슬로 묶여있다. 줄로 묘사되던 그의 역할, '균형'이 속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 윈윈의 앞에 알약들이 놓여있다.
서로 다른 두 색깔의 알약은 영화 <매트릭스>가 낳은 클리셰로, 꿈에 머무는 것과 현실로 돌아가는 것 사이의 선택을 의미한다.
다만 영화와 차별화를 두기 위해, NCT 세계관에 맞추어 알약의 색을 파란색과 귤색으로 바꾸었다. 파랑-주황 계열은 바다와 사막의 대비로, 공감이라는 거대한 꿈의 조건을 상징하는 색이다.
이렇게 선택 앞에 속박된 균형이 대조적으로 연출된다.
이제 윈윈은 균형이 아닌, 꿈과 현실 중 한 곳을 선택할 때가 왔음을 알린다.
13.
물리적으로 묶여있는 윈윈과 달리, 양양은 비교적 신체가 자유롭다.
색(色)의 강조는 줄곧 꿈을 나타내 왔다. 그런데 양양은 색을 마구 섞고 있다.
여기서 그의 역할이 드러난다. 양양는 윈윈과 상반되는, 꿈의 균형에 장난을 치고 있는 인물이었다.
"내 꿈은 계속해서 속도감을 느끼는 거야. 형들도 느끼게 해 줄게." ― Dream Launch Plan YangYang 中
장난을 치고 있단 걸 증명하듯, 양양의 대사에는 목적성과 맥락이 없다.
- 널 어떻게 내보내지?
- 네가 왜 여기 있어?
- 별다른 도구가 없어!
- 그럼 내가 그린 열쇠를 찾아봐.
그는 「Regular」에서 서버에 정체불명의 하드디스크를 삽입했었고,
「Moonwalk」에서 시계를 멈춰 「Turn Back Time」의 계기를 만든 것도 그이므로,
양양의 존재 때문에 꿈과 현실의 균형을 위해 시작된 여정이 결국 선택으로 끝맺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4.
그리고 이 순간 선택의 주도권은, 텐에게 있다.
텐은 모든 멤버를 취조하였고,
이내 감옥에 가둬 감시하여, 시공간을 돌리고 꿈을 나가는 일을 저지했다.
텐은 이상향을 잃고 약해진 상태에서 WayV의 꿈으로 들어왔다.
하지만, 양양의 장난으로 균형이 어긋난 틈에 멤버들을 가두어 다시 영향력을 되찾은 것이다.
15.
텐은 마지막에야, 마치 히어로처럼 모두를 구해주었다.
"나는 세상을 바꾸는 영웅이 되고 싶어." ― Dream Launch Plan TEN 中
이러한 텐의 행동으로,
WayV는 결국 음악이 끝날 때까지도 시공간을 되돌려 꿈을 나가지 못했다.
16.
폐허가 된 세상 가운데 멤버들이 있는 건물만이 굳건하다.
「Cherry Bomb」에서 건물 안을 꿈으로, 건물 밖을 현실로 해석한 바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이다. 시공간을 되돌리지 못했기 때문에 꿈만이 남아있고, 현실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17.
그리고 알약을 앞에 두고 모여 앉은 멤버들.
WayV는 지금 꿈과 현실 사이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그 선택을 추측해보자면,
-
텐이 모두를 가두었으므로 WayV는 대체로 현실을 지향한다고 본다.
-
헨드리는 꿈에 잠긴 모습이 명확하게 강조되었기에 우선 중립으로 분류한다.
-
양양은 윈윈처럼, 특정 입장에 따라 움직이는 인물이 아니기에 별도로 구분하지 않는다.
{ 현재 알 수 있는 정보 }
< 입장 >
꿈에 머물자 : 텐, 도영, 쟈니, 정우, 재민
꿈에서 깨어나자 : 마크, 태용, 루카스, 해찬, 런쥔, 천러, 지성, 제노, 쿤, 샤오쥔
중립 : 태일, 유타, 재현, 헨드리
< 역할 >
태용, 윈윈, 지성, 샤오쥔 : 세계관을 엶
윈윈 : 꿈 사이 균형을 맞춤
양양 : 꿈 사이 균형을 어긋냄
재현, 루카스, 정우 : 꿈의 구조를 거스름
태일, 유타, 쿤 : 꿈의 끝을 볼 수 있음
마크, 런쥔, 해찬, 헨드리 : 꿈에 자신의 의지를 투영할 수 있음
< 특이사항 >
127: 꿈에서 깨려는 시도를 계속함
DREAM : 현실에 보다 가까워짐
WayV : 꿈에서 깨려는 시도에 실패함
127과 WayV 모두 꿈을 깨는 데 실패했지만,
Dream까지도 꿈에서 깨어나려는 의지를 갖춘 지금.
이제 NCT는 모두 함께 꿈의 끝으로 가기 위한 마지막 여정만을 남겨두고 있다.
― Next, NCT 2020
'NCT 세계관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20. Resonance : 90's Love + Work It + Raise The Roof (0) | 2021.01.27 |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9. Resonance : Make A Wish + From Home + 무대로 (0) | 2021.01.27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7. Punch + Ridin' (0) | 2020.12.25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6. 영웅 + Neo Zone (0) | 2020.12.20 |
[NCT 세계관 총정리/뮤비해석] #15. 특별편 - 중간 요약 정리 (0) | 2020.12.20 |